앳되다(형용사)

애티가 있어 어려 보이다.

 

애띠다가 아니라 앳되다가 맞는 표현이야!

아이의 준말인 애 + 접사 -되다 가 붙어서 된 표현이야!

 

 

 

케케묵다(형용사)

물건 따위가 아주 오래되어 낡다.

 

이거의 어원은 켜켜묵다 인데

 

켜는 포개어진 물건의 하나하나의 층 이라는 뜻이 있어!

즉 먼지가 층층이 묵어서 켜켜묵다가 되었는데

 

나중에는는 켸케묵다가 되었어!

 

하지만 좀 단순해야 편하잖아?

그래서 케케묵다가 된거야!

 

 

 

끼어들다(동사)

자기 순서나 자리가 아닌 틈 사이를 비집고 들어서다

 

끼여들다가 아니라 끼어들다가 맞아!

한글 맞춤법에서 'ㅣ' 모음동화 현상은 표기에 반영하지 않거든.

'되었다' '하시오'를 발음 나는 대로 '되였다' '하시요'로 표기하면 틀렸어!

 

하지만 준말은 표기에 반영해!

'끼다'에 '어'가 결합하면 '끼어'가 되고, '끼이다'에 '어'가 결합하면 '끼여'가 돼!

 

하지만 끼어들다는 의미상 능동으로 가능하지만

피동은 불가능해서

끼여들다는 없는 단어야!

 

쪼들리다(동사)

어떤 일이나 사람에 시달리거나 부대끼어 괴롭게 지내다.

 

모음 조화로

ㅗ+ㅏ 조합인

쪼달리다가 발음하기 편하지만

쪼들리다로 이미 정착되어서 쪼들리다가 올바른 표현이야!

 

 

허구한

 

허구하다

형용사
((‘허구한’ 꼴로 쓰여))
날, 세월 따위가 매우 오래다.

 

許허락할 허 久오랠 구

매우 오래

 

허구+하다 

*천장(障)

天 하늘 천 + 障 막을 장

하늘을 막는다 해서 천장이야!

천정은 틀린 표현이고

천장이 맞는 표현이야!

+障 막을 장

章 글 장

音소리 음을 十한 묶음씩 끊어서 기록 한다 하여 글 장이 되었는데

阝언덕 부 그러니까 언덕에 글이 막힌다 하여 막을 장이 된거야!

 

 

 

 

*수소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해!

양념쥐 빼고 ㅎㅎ(by 파란님)

숫양

숫염소

숫쥐

 

 

*무

준말이 널리 쓰이고 본말이 잘 쓰이지 않으면!

준말만을 표준어로 삼아.

그러니까 ‘무’가 올바른 표기야!

1988년 이전에는 ‘무우’가 옳은 표기이었으나,

개정 이후 표준어가 바뀐 경우야!

 

 

비슷한 예!

똬리O 또아리X

생쥐O 새앙쥐X

솔개O 소리개X

귀찮다O 귀치않다X (어원: 귀+하+지+아니+하+다)

뱀O 배암X

온갖O 온가지X

 

 

 

 

*귀이개

귀지를 파내는 기구

본말인 ‘귀이개’와 준말인 ‘귀개’ 중에

본말인 ‘귀이개’가 더 널리 쓰이므로 ‘귀이개’를 표준어로 삼아!

‘귀개’는 버리며, ‘귀지개, 귀짓개, 귀후비개, 귀파개, 귀소시게, 귀쑤시개’도 버려!

 

 

 

 

*코방아

엎어져서 코를 바닥에 부딪치는 일.

‘코방아’는 [코방아]로 소리 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아!

콧방아가 아니라 코방아!!!

 

 

 

 

1. 오늘은 Hello World를 배울꺼야!

 

왜냐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때

맨처음은 Hello World로 정해져 있거든!!!!

 

 

 

2. 아무튼 파란 부분을 메모장에 복사해봐!

 

<html>
 
<head>
 
</head>
 
<body>
 
<script type="text/javascript">
  
document.write("Hello World!");
 
</script>
 
</body>
 
</html>

 

 

복사하고 싶으면 여기로!

http://semicolon26.tistory.com/11


 
 
 

 

 

 

3. 그리고 너가 원하는 제목으로

    저장한 다음에

 

 

4. txt를 hta로 바꿔줘!

 

 

 

 

 

 

 

 

 

5. 실행해봐!

6. Hello World! 라는 글자가 나올거야!

 

 

 

 

7. 파란 부분에 대해 간단한 분석

 

<html> // html파일의 시작
 
<head> // 머리부분
 
</head> // 머리 부분
 
<body> // 몸통 부분
 
<script type="text/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사용
  
document.write("Hello World!");

//Hello World! 문자열을 출력해라
 
</script> //자바스크립트 끝
 
</body> //몸통 부분
 
</html> //html파일의 끝

 
 

8. html(1)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야!

웹 문서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본적인 마크업 언어야

하이퍼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개발되었어!

 

마크업 언어: 단순히 꾸며주는 언어!

ex) 책 표지는 배경을 무지개 그라데이션으로 넣어주시고

     제목은 중앙에 검은색 굴림체로 크게 박아주세요

 

하이퍼텍스트: 전통적인 텍스트인 책은 한 개의 선형적 순차가 전제되어 있어!

첫째 페이지를 읽고, 둘째 페이지를 읽고…하는 식으로.

하지만 하이퍼텍스트는 텍스트가 읽히는 순서가 결정되어 있지 않아!

아래 예시 처럼!!

 

9. html(2)

HTML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는 태그(tag)라고 하는데 꺽쇠괄호"<>"를 사용해!

일반적으로 태그는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2개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어!

종료 태그의 이름은 슬래시 문자[/]로 시작돼!

 

<html> ~ </html>

html 문서의 시작과 끝

 

<head> ~ </head>

대가리 부분

 

<body> ~ </body>

몸뚱아리 부분

 

<script type="text/javascript"> ~ </script>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부분

 

10. javascript

HTML 문서의 단조로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든 스크립트 언어야!

 

스크립트 언어: 따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실시간으로 텍스트를 분석하며 실행되는 언어야!

덕분에 프로그램 같은게 필요없어!

 

document.write("내용");

 

이거는 출력 명령어야!

 

내용으로 Hello World!를 썼으니까

document.write("Hello World!");

 

Hello World! 가 출력 되는거야!

 

 

 

 

 

 

 

 

 

 

 

 

 

 

 

 

 

 

 

 

 

 

 

다음은 key code와 함수를 배울거야!

'게임제작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1화 그냥 따라해보거라!  (0) 2018.07.29

*사글세(朔貰)

셋집을 얻을 때 임차기간 동안의 차임 전부를 미리 지급한 금액을 말한다. 보통 몇 개월치 씩 목돈을 내고 매월 월세를 공제하는 방식


朔초하루 삭/처음 삭

月달 월

貰세낼 세


즉 처음부터 미리 월세를 낸다 하여 어원은 삭월세이지만


사람들이 사글세 사글세 하다보니


결국 사글세로 바뀌었다.






*숫총각

여자와 성적 관계가 한 번도 없는 남자.

숫=일부 명사 앞에 붙어))‘더럽혀지지 않아 깨끗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깡충깡충

짧은 다리 모으고 자꾸  있게 솟구쳐 뛰는 모양. ‘강중강중’보다 세고 거센 느낌 준다.


원래는 모음 조화로 양성모음 깡총깡총 이었지만

사람들이 깡충 깡충을 많이써서

깡충깡충이 됨







*부조扶
扶 도울 부
助 도울 조
잔칫집이나 상가 따위에 돈이나 물건을 보내어 도와줌. 또는 돈이나 물건.
남을 거들어서 도와주는 일.

원래는 모음 조화로 음성모음 부주이었지만
부조助 한자 어원을 많이 인식하여
부조가 됨







*아지랑이

주로 봄날 햇빛이 강하게 쬘 때 공기가 공중에서 아른아른 움직이는 현상


원래는 ㅣ 모음 역행 동화로

아지랭이 지만

이를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음


아비O 애비X

어미O 애미X



다만 인정하는 예외로는

풋내기, 냄비, 동댕이치다 등이 있음





브로드만 영역 목록


Areas 3, 1 & 2 –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frequently referred to as Areas 3, 1, 2 by convention)

Area 4 – Primary Motor Cortex

Area 5 – Somatosensory Association Cortex

Area 6 – Premotor cortex and Supplementary Motor Cortex (Secondary Motor Cortex) (Supplementary motor area)

Area 7 – Visuo-Motor Coordination

Area 8 – Includes Frontal eye fields

Area 9 –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rea 10 – Anterior prefrontal cortex (most rostral part of superior and middle frontal gyri)

Area 11 – Orbitofrontal area (orbital and rectus gyri, plus part of the rostral part of the superior frontal gyrus)

Area 12 – Orbitofrontal area (used to be part of BA11, refers to the area between the superior frontal gyrus and the inferior rostral sulcus)

Area 13 and Area 14* – Insular cortex

Area 15* – Anterior Temporal lobe

Area 16 – Insular cortex

Area 17 – Primary visual cortex (V1)

Area 18 – Secondary visual cortex (V2)

Area 19 – Associative visual cortex (V3, V4, V5)

Area 20 – Inferior temporal gyrus

Area 21 – Middle temporal gyrus

Area 22 – Superior temporal gyrus, of which the caudal part is usually considered to contain the Wernicke's area

Area 23 – Ventral posterior cingulate cortex

Area 24 – Ventral anterior cingulate cortex.

Area 25 – Subgenual area (part of the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5]

Area 26 – Ectosplenial portion of the retrosplenial region of the cerebral cortex

Area 27 – Piriform cortex

Area 28 – Ventral entorhinal cortex

Area 29 – Retrosplenial cingulate cortex

Area 30 – Part of cingulate cortex

Area 31 – Dorsal Posterior cingulate cortex

Area 32 – Dorsal anterior cingulate cortex

Area 33 – Part of anterior cingulate cortex

Area 34 – Dorsal entorhinal cortex (on the Parahippocampal gyrus)

Area 35 – Perirhinal cortex (in the rhinal sulcus)

Area 36 – Ectorhinal area, now part of the perirhinal cortex (in the rhinal sulcus)

Area 37 – Fusiform gyrus

Area 38 – Temporopolar area (most rostral part of the superior and middle temporal gyri)

Area 39 – Angular gyrus, considered by some to be part of Wernicke's area

Area 40 – Supramarginal gyrus considered by some to be part of Wernicke's area

Areas 41 and 42 – Auditory cortex

Area 43 – Primary gustatory cortex

Area 44 – Pars opercularis, part of the inferior frontal gyrus and part of Broca's area

Area 45 – Pars triangularis, part of the inferior frontal gyrus and part of Broca's area

Area 46 –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rea 47 – Pars orbitalis, part of the inferior frontal gyrus

Area 48 – Retrosubicular area (a small part of the medial surface of the temporal lobe)

Area 49 – Parasubicular area in a rodent

Area 52 – Parainsular area (at the junction of the temporal lobe and the insula)

(*) Area only found in non-human primates.



끄나풀

1. 길지 않은 끈의 나부랭이

(나부랭이: 종이나 헝겊 따위의 자질구레한 오라기)

2.

남의 앞잡이 노릇을 하는 사람을 욕으로 이르는 말

(앞잡이: 앞에서 인도하는 사람)

 

일제의 앞잡이 처럼, 길지도 않으면서 짧은 끈 주제에 앞잡이 노릇을 한다하여

욕할 때 쓰는 말!

 

 

 

1. =쪽, 방향을 가리키는 말

ex) 북 녘, 마당 한 녘

2. 어느 때의 무렵

ex) 아침 녘, 황혼 녘

 

 

강낭콩

어원은 중국의 강남(중국 양쯔강 이남 지역)에서 온 콩이라는 뜻의 '강남콩'이지만 서울의 강남을 떠올리는 등 어원 의식이 희박해져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콩 재배도 하냐, 강남산 콩이라는 오해를 불렀다가 1988년에 표준어 규정에 따라 널리 쓰인 '강낭콩'으로 변경되었다.

 

 

 

살쾡이

원래는 삵+고양이 에서 삵고양이 이었으나

삵괭이로 준말화 되었고

거센소리가 표준화로 정착되어

살쾡이가 되었다.

 

 

수벌

 '수컷'을 나타내는 말은 '수-'로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세 단어만 예외입니다. '숫-양', '숫-염소', '숫-쥐'에만 '숫-'을 씁니다.

Domain 1. 건강증진(Health-promotion)

Class 1. 건강인식(Health awareness)

(1) 여가활동 부족(Deficient diversional activity) : 자신의 유익과 만족을 위한 여가시간을 활용하는 대상 자의 능력이 제한을 받거나 감소된 상태
(2) 비활동적 생활양식, 좌식생활 (Sedentary lifestyle) : 개인 또는 그룹이 신체활동 수준이 낮게 나타나 는 생활습관을 보고하는 상태

Class 2. 건강관리(Health Management)

(3) 허약한 노인 증후군(Frail elderly syndrome) : 신체적, 기능적, 정신적 또는 사회적 건강 영역 중 하 나 또는 더 많은 영역에서 오래된 개인 경험의 악화에 영향을 주고, 특정 장애에서 부정적인 건강 영향에 대한 증가된 감수성을 유도하는 불안정한 균형 상태
(4) 허약한 노인 증후군 위험성(Risk of Frail elderly syndrome) : 신체적, 기능적, 정신적 또는 사회적 건 강 영역 중 하나 또는 더 많은 영역에서 오래된 개인 경험의 악화에 영향을 주고, 특정 장애에서 부 정적인 건강 영향에 대한 감수성 증가를 유도하는 불안정한 균형에 취약한 상태
(5) 지역건강자원 부족(Deficient community health) : 집단에 안녕을 지체시키는 한 가지 이상의 건강문 제 또는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건강문제를 일으킬 위험이 증가되는 상황
(6) 모험적 건강행위 위험성(Risk-prone health behavior) : 건강상태를 증진시키는 생활형태/행동을 수정 하는 능력의 손상
(7) 건강유지능력의 변화(Ineffective health maintenance) :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도움을 확인, 관 리, 확보하지 못하는 상태
(8) 비효율적인 자가 건강관리(Ineffective health management) : 질병과 그 후유증을 치료하기 위한 치 료적 섭생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양상이 건강목표 도달을 만족시키지 못함
(9) 자가건강관리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health management) : 질병과 그 후유증을 치료 하기 위한 치료적 섭생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양상이 건강관련 목표 도달에 충분함
(10)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가족(Ineffective family health management) : 질병과 그 후유증을 치료 하기 위한 가족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양상이 특정한 건강목표 도달에 미치지 못함 (11) 불이행(Noncompliance) : 자원부족으로 처방된 건강관련 행위를 수행하지 못하거나 수행의지가 없 음 (12) 방어능력 저하(Ineffective protection) : 질병이나 손상 등의 내, 외적인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 는 능력이 감소된 상태


Domain 2. 영양(Nutrition)

Class 1. 섭취(Ingestion)

(13) 모유 부족(Insufficient breast milk) : 모유 생산 부족
(14) 비효율적 모유(Ineffective breastfeeding) : 어머니와 영유아가 모유수유과정에서 만족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경험하는 상태
(15) 모유수유 장애, 수유 중단(Interrupted breastfeeding) : 모유를 먹일 수 없거나 먹이도록 권유하지 못하여 모유수유가 중단된 상태
(16) 수유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breastfeeding) : 모아 상호간에 모유 수유 과정을 충분 히 지지해주고 강화시키는 능숙하고 만족스러운 상태
(17) 비효율적인 수유(Ineffective infant feeding pattern) : 영아가 젖을 빨거나 삼키는 능력결손이나 조 정장애가 있어 구강을 통한 영양섭취가 부적절한 상태
(18) 영양불균형: 영양부족(Imbalanced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s) : 대사 요구량보다 부족 한 영양섭취
(19) 영양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nutrition) : 영양섭취가 강화될 수 있는 형태
(20) 비만(obesity) : 개인이 연령과 성별에 따른 과체중을 초과하는 비정상적인 또는 과도한 지방을 축 적한 상태
(21) 과체중(overweight) : 개인이 연령과 성별에 따른 비정상적인 또는 과도한 지방을 축적한 상태
(22) 과체중 위험성(risk for overweight) : 연령과 성별에 따른 비정상 또는 과도한 지방 축적으로 건강 을 손상시킬 수 있는 취약한 상태
(23) 연하장애(Impaired swallowing) : 구강, 인두, 식도의 구조나 기능의 결함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연하 기능

Class 2. 소화(Digestion) 음식물이 흡수·소화에 적합한 물질로 전환되는 물리적, 화학적 활동.

Class 3. 흡수(Absorption) 체조직을 통해 영양분을 흡수하는 작용.

Class 4. 대사(Metabolism) 원형질의 성장과 활용을 위해 살아있는 유기체와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화학 적, 물리적 과정으로서 모든 생명과정을 위해 에너지를 유리하고 이로 인한 부산물을 생산하는 것.

(24) 불안정한 혈당치 위험성(Risk for unstable blood glucose level) :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혈당 수준의 변화 위험성
(25)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 : 비결합 빌리루빈으로 인해 생후 24시간에 발생한 신생아 피부와 점막 황달
(26) 신생아 황달 위험성 (Risk for Neonatal jaundice) : 순환에서 포화되지 않은 빌리루빈의 결과로 생 후 24시간 이내에 피부와 점막에 노랗게 착색이 되는 위험성
(27) 간기능 장애 위험성(Risk for impaired liver function) : 간기능 저하로 인한 건강문제에 처할 위험성

Class 5. 수화(Hydration) 체액과 전해질의 섭취와 흡수.

(28) 전해질 불균형 위험성(Risk for electrolyte imbalance) : 혈청 전해질 농도 변화로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취약한 상태
(29) 체액균형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fluid balance) : 신체적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강화시 킬 수 있는 체액의 양과 화학적 구성성분 간의 균형상태
(30) 체액 부족(Deficient fluid volume) : Na의 변화 없이 수분상실만 있는 탈수를 의미할 수 있는 혈관 내, 간질 또는 세포 내의 체액이 감소된 상태
(31) 체액부족 위험성(Risk for deficient fluid volume) : 혈관, 세포, 또는 간질세포의 탈수 위험성(Na의 변화 없이 탈수 수분 상실 가능)
(32) 체액 과다(Excess fluid volume) : 등장성 체액 정체의 증가
(33) 체액불균형 위험성(Risk for imbalanced fluid volume) : 체액상실, 증가, 혹은 두 가지 모두를 의미 할 수 있는 혈관 내, 간질, 세포 내액의 감소, 증가 혹은 급속한 변화를 일으킬 위험성 Domain 3. 배설(Elimination and exchange) : 신체로부터 부산물을 분비하고 배설하는 것. Class 1. 비뇨기계(Urinary Function) 소변의 분비와 배설 과정.
(34) 배뇨장애(Impaired urinary elimination) : 배뇨기능에 장애가 있는 상태
(35) 요배설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urinary elimination) : 배뇨요구를 충족시키고 강화시 킬 수 있는 배뇨기능상태
(36) 기능적 요실금(Functional urinary incontinence) : 적절한 시간 내에 화장실까지 가지 못하여 예상치 못하게 소변이 흘러나오는 상태
(37) 축뇨성, 일류성 요실금(Overflow urinary incontinence) : 방광이 과팽만 되어 소변이 불수의적으로 흘러나오는 상태
(38) 신경인성 요실금(Reflex urinary incontinence) : 일정량의 소변이 방광에 찰 때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간격으로 소변이 불수의적으로 흘러나오는 상태
(39) 복압성 요실금(Stress urinary incontinence) : 복강 내의 압력이 상승함으로 인하여 불시에 소변이 흘러나오는 상태
(40) 긴박성 요실금(Urge urinary incontinence) : 배뇨에 대한 긴박감을 강하게 느끼는 즉시 불수의적으 로 소변이 흘러나오는 상태
(41) 긴박성요실금 위험성(Risk for urge urinary incontinence) : 갑자기 강한 요긴박감이 느껴져 불수의 적으로 소변이 흘러나올 위험이 있는 상태
(42) 소변정체(Urinary retention) : 배뇨 시 방광을 완전히 비우지 못하는 상태

Class 2. 위장계(Gastrointestinal Function)


(43) 변비(Constipation) : 정상적인 배변습관이 변화되어 배변 횟수가 감소되거나 굳고 건조한 변을 배 설하는 상태
(44) 변비 위험성(Risk for constipation) : 정상적인 배변습관이 변화되어 배변횟수가 감소되거나 굳고 건 조한 변을 배설할 위험이 있는 상태
(45) 만성 기능적 변비(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 과거 1년 동안 적어도 세 번의 대변의 어려운 또는 부정기적인 배설이 있는 상태
(46) 만성 기능적 변비 위험성(Risk for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 과거 1년 동안 적어도 세 번의 대변의 어려운 또는 부정기적인 배설이 있어 건강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취약한 상태
(47) 상상변비(Perceived constipation) : 변비라고 자가진단하고 완하제, 관장, 좌약을 사용하여 매일 변 을 배설하려는 상태
(48) 설사(Diarrhea) : 정상적인 배변습관이 변화되어 배변 횟수가 증가되거나 묽은 변을 배설하는 상태
(49) 위장관 운동기능 장애(Dysfunctional gastrointestinal mobility) : 위장계 내의 연동운동이 증가, 감 소, 무력하거나 약한 상태
(50) 위장관 운동기능 장애 위험성(Risk for dysfunctional gastrointestinal mobility) : 위장계 내의 연동 운동이 증가, 감소, 무력하거나 약하게 될 위험성이 있는 상태
(51) 변실금(Bowel incontinence) : 정상적인 배변습관이 변화되어 불수의적으로 변을 배설하는 상태

Class 3. 피부계(Integumentary Function)

Class 4. 호흡기계(Pulmonary Function)


(52) 가스교환장애(Impaired gas exchange) : 폐포에서 과다 또는 부족한 산소화 또는 이산화탄소 배출 로 인한 호흡곤란 상태

Domain 4. 활동/휴식(Activity/Rest)


Class 1. 수면/휴식(Sleep/Rest) 잠, 휴식, 평온, 활동하지 않음.


(53) 불면증(Insomnia) : 기능하기 어려울 정도로 수면의 양과 질이 파괴됨
(54) 수면박탈(Sleep deprivation) : 자지 않는 시간이 길어짐(각성상태가 연장됨)
(55) 수면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sleep) : 적절한 휴식을 제공하고, 바람직한 일상생활을 유지하고 활기차게 하는 자연적, 주기적 수면의식패턴
(56) 수면 패턴 장애(Disturbed sleep pattern) : 수면의 양과 질의 손상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이나 장애를초래하는 상태

Class 2. 활동/운동 (Activity/Exercise)


(57) 비사용 증후군 위험성(Risk for disuse syndrome) : 처방 또는 피치 못하게 근골격계 활동을 하지 않은 결과로 인해 신체조직이 퇴화 위험이 있는 상태
(58) 침상 체위이동장애(Impaired bed mobility) : 침상에서 움직이는 데 제한이 있거나 제한 위험이 있 는 상태
(59) 운동장애(Impaired physical mobility) : 신체 움직임에 제한이 있거나, 제한 위험은 있지만 부동은 아닌 상태
(60) 휠체어사용 장애(Impaired wheelchair mobility) : 휠체어 사용과 안전성에 어려움이 있거나, 어려울 위험이 있는 상태
(61) 앉기 장애(Impaired sitting) : 몸을 똑바로 직립할 때 엉덩이와 허벅지에 의해 지지되는 안정자세를 독립적으로, 목적의식을 가지고 유지하거나 달성하는 능력의 제한
(62) 서기 장애(Impaired standing) : 발에서 머리까지 똑바로 직립하는 자세에서 몸을 독립적으로, 목적 의식을 가지고 유지하거나 달성하는 능력의 제한
(63) 이동능력 장애(Impaired transfer mobility) : 독립적으로 이동에 어려움이 있거나, 어려울 위험이 있 는 상태
(64) 보행 장애(Impaired walking) : 보행에 제한이 있거나, 제한 위험이 있는 상태

Class 3. 에너지균형(Energy Balance)


(65) 피로(Fatigue) : 휴식으로 회복이 되지 않은 피로감과 신체적, 정신적 업무능력 감퇴가 지속적으로 엄습하는 상태
(66) 배회(Wandering) : 목적 없이 반복적으로 이리저리 옮겨 다님으로서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는 상태

Class 4. 심폐 및 맥관 반응(Cardiovascular/Pulmonary Response)


(67) 활동의 지속성 장애(Activity intolerance) : 일상생활을 수행하거나 지속하는 데 필요한 생리적, 심리 적 에너지가 불충분한 상태
(68) 활동의 지속성 장애 위험성(Risk for activity intolerance) : 일상생활에 요구되는 육체적 혹은 심리 적 에너지가 불충분한 위험이 우려되는 상태
(69) 비효율적인 호흡양상(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 호기나 흡기 양상의 변화로 적절한 환기가 이 루어지지 못하는 상태
(70) 호흡기능 장애(Impaired spontaneous ventilation) : 생명을 지탱하는 데 필요한 호흡을 독립적으로 유지하는 에너지가 부족한 상태
(71) 호흡기제거에 대한 부적응(Dysfunctional ventilatory weaning response) : 인공호흡기의 보조수준을 낮출 경우 호흡기를 제거하는 과정이 방해받고 지연되는 상태
(72) 심박출량 감소(Decreased cardiac output) : 심장에서 박출 되는 혈액이 신체의 대사요구를 충족시 키지 못하는 상태
(73) 심박출량 감소위험성(Risk for decreased cardiac output) : 심장에서 박출 되는 혈액이 건강에 위협 을 줄 정도로 신체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취약한 상태
(74) 심혈관계 기능 손상 위험성(Risk for impaired cardiovascular function)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수장기와 순환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내 ・ 외적 원인들에 취약한 상태
(75) 위장관류 감소위험성(Risk for ineffective gastrointestinal perfusion) : 건강을 손상시키는 위장관 순 환감소의 위험
(76) 신관류 장애 위험성(Risk for ineffective renal perfusion) :건강을 손상시키는 신장 혈액순환 감소 위험
(77) 말초조직관류 장애(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 건강을 손상시키는 말초 혈액순환 감소 위험
(78) 말초조직관류 장애위험성(Risk for 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 건강을 손상시키는 말초 혈액순환 저하 위험
(79) 심장조직관류 감소위험성(Risk for decreased cardiac tissue perfusion) : 건강을 손상시키는 심장(관 상동맥) 순환 감소 위험
(80) 뇌조직관류 장애위험성(Risk for ineffective cerebral tissue perfusion) : 건강을 손상시키는 뇌조직 순환의 감소 위험

Class 5. 자가 간호(Self-Care)


(81) 비효율적 가정 관리(Impaired home maintenance) : 성장을 증진하는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지 못하 는 상태
(82) 자가 간호 결핍: 화장실 사용(Toileting self-care deficit) : 화장실 사용을 혼자 힘으로 수행하거나 완료하지 못하는 상태
(83) 자가 간호 결핍: 목욕하기(Bathing self-care deficit) : 목욕 또는 위생활동을 혼자 힘으로 수행하거 나 완료하지 못하는 상태
(84) 자가 간호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self-care) : 건강관련 목표를 충족시키도록 돕거나 강화시키는 활동을 수행하는 형태
(85) 자가 간호 결핍: 옷 입기(Dressing self-care deficit) : 옷 입기를 혼자 힘으로 수행하거나 완료하지 못하는 상태
(86) 자가 간호 결핍: 식사하기(Feeding self-care deficit) : 식사를 혼자 힘으로 수행하거나 완료하지 못 하는 상태
(87) 태만(self-neglect) :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건강과 안녕의 기준을 유지하지 못하는 일련의 비상식적 인 행동

Domain 5. 지각/인지(Perception/Cognition)


Class 1. 주의력(Attention)


(88) 편측성 지각장애(Unilateral neglect) : 신체의 환측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상태

Class 2. 지남력(Orientation)

Class 3. 감각/지각(Sensation/Perception)

Class 4. 인지(Cognition)


(89) 급성혼돈(Acute confusion) : 주의력, 인지, 정신운동성 활동, 의식수준, 수면 각성 주기의 전반적인 변화와 장애가 갑자기 일시적으로 발생한 상태
(90) 급성혼돈 위험성(Risk for acute confusion) : 단기간에 걸쳐 진행된 의식, 주의력, 인지, 지각의 가역 적 장애의 위험이 있는 상태
(91) 만성혼돈(Chronic confusion) : 지능과 인격이 장기간에 걸쳐 점진적, 비가역적으로 황폐해짐에 따라 환경 자극을 해석하는 능력의 감소, 사고능력의 감소 및 기억력, 지남력, 행위의 장애가 나타나는 상태
(92) 비효율적 충동조절(Ineffective impulse control) : 자신의 충동적인 반응이 다른 사람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한다는 고려 없이 내외적인 자극에 대해서 빠르고 무계획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현상
(93) 지식부족(Deficient knowledge) : 특정주제와 관련된 인지적 정보가 부재 또는 결핍된 상태
(94) 지식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knowledge) : 건강목표를 충족시키고 강화시킬 수 있는 특정 주제에 대한 인지적 정보를 갖고 있거나 습득한 상태
(95) 기억장애(Impaired memory) : 정보나 행위를 기억하거나 회상하지 못하는 상태
(96) 불안정한 감정 조절(Labile emotional control) : 과도하고 부득이한 감정표현이 조절되지 않는 분출 상태

Class 5. 의사소통(Communication)


(97) 언어소통장애(Impaired verbal communication) : 언어의 사용, 전달, 수용, 처리능력이 없거나 지연 되거나 감소된 상태
(98) 의사소통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communication) : 자신의 요구와 삶의 목표를 충족 시키고, 강화시키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정보와 생각을 교환하는 형태

Domain 6. 자아인식(Self-perception)


Class 1. 자아개념(Self-Concept)


(99) 희망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hope) : 개인 자신 이익을 강화하는 데 에너지를 집결하 기 위한 요구와 기대들의 형태
(100) 절망감(Hopelessness) : 대안이나 선택의 여지가 없고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느끼는 주관적인 상 태
(101) 자아정체성 장애(Disturbed personal identity) : 실제의 자신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상태
(102) 자아정체성 장애 위험성(Risk for disturbed personal identity) : 자신에 대한 통합적이고 완전한 인식이 불가능할 위험성
(103) 인간 존엄성 손상위험성(Risk for compromised human dignity) : 개인의 위엄과 명예가 실제적 또 는 인식적으로 손상 받을 위험이 있는 상태
(104) 자아개념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self-concept) : 안녕상태를 유지하고 강화할 수 있 는 자신에 대한 개념이나 지각양상

Class 2. 자긍심(Self-esteem)


(105) 만성적 자긍심저하(Chronic low self-esteem) : 자신 또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 느 낌이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상태
(106) 만성적 자긍심저하 위험성(Risk for chronic low self-esteem) : 자신이나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 정적인 자아 평가/느낌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될 위험성
(107) 상황적 자긍심저하(Situational low self-esteem) : 현재 처한 상황에서 자신 또는 자신의 능력에 대 한 부정적인 평가와 느낌을 갖는 상태
(108) 상황적 자긍심저하 위험성(Risk for situational low self-esteem) :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개인의 존 경과 명예의 실제적 또는 인식적으로 손실 위험이 있는 상태

Class 3. 신체상(Body Image)


(109) 신체상 장애(Disturbed body image) : 자신의 신체에 대한 지각에 혼란이 온 상태

Domain 7. 역할관계(Role Relationships)


Class 1. 보호자역할(Caregiving Roles)


(110) 돌봄 제공자 역할 부담감(Caregiver role strain) : 가족이 보호자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 음
(111) 돌봄 제공자 부담감의 위험성(Risk for caregiver role strain) : 돌봄 제공자가 그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우려가 있는 상태
(112) 부모역할 장애(Impaired parenting) : 부모가 자녀의 성장발달을 증진시키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 는 상태
(113) 부모역할 향상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parenting) : 부모가 자녀의(의존적인 대상자) 성장 발달을 증진시키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
(114) 부모역할 장애위험성(Risk for impaired parenting) : 보모가 자녀의 성장발달을 증진시키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할 위험이 있는 상태

Class 2. 가족관계(Family Relationships)


(115) 애착 장애 위험성(Risk for impaired attachment) : 부모가 자녀와 상호작용 하는 데 장애가 있어 보호적이고 양육적인 호혜 관계를 발달시키지 못하는 상태
(116) 가족과정 기능 장애(Dysfunctional family process) : 만성적으로 가족의 사회심리적, 영적, 생리적 기능이 와해된 상태로 문제해결과 변화에 거부와 갈등과 저항이 있는 위기상황
(117) 가족기능 중단(Interrupted family processes) : 가족의 관계나 기능이 변화된 상태
(118) 가족기능 향상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family processes) : 가족의 안녕을 지지하고 강화할 수 있는 가족기능 상태 Class 3. 역할수행(Role Performance)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행동형태 기능의 질.
(119) 관계 장애, 비효율적인 관계(Ineffective relationship) : 각자의 욕구에 따라 제공되는 상호적인 동 반관계가 불충분한 양상
(120) 비효율적 관계 위험성(Risk for ineffective relationship) : 각자의 욕구에 따라 제공되는 상호적인 동반관계가 불충분할 위험성
(121) 부모역할 갈등(Parental role conflict) : 위기에 처한 부모가 역할 혼동과 갈등을 경험하는 상태
(122) 역할수행 장애(Ineffective role performance) : 환경적 상황, 표준, 기대에 맞지 않는 행동과 자기 표현 상태
(123)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Impaired social interaction) : 사회적 교류 양의 부족 혹은 과잉, 사회적 교 류의 질이 비효율적인 상태

Domain 8. 성(Sexuality)


Class 1. 성정체감(Sexual Identity)

Class 2. 성기능(Sexual Function) 성적 활동에 참여하는 능력.


(124) 성기능 장애(Sexual dysfunction) : 성기능이 변화하여 불만족스럽고 충족이 안 되거나 부적절하다 고 느끼는 상태
(125) 성문제 호소, 비효율적 성생활(Ineffective sexuality patterns) : 자신의 성에 대한 걱정이나 관심을 표현하는 상태

Class 3. 생식(Reproduction)

(126) 출산과정 장애(Ineffective childbearing process) : 임신과 출산과정, 그리고 신생아 돌봄이 환경적 으로 잘 준비되고 정상이며 기대 했던 대로 진행되지 않음
(127) 출산과정 장애 위험성(Risk for ineffective childbearing process) : 임신과 출산과정, 그리고 신생아 돌봄이 환경적으로 잘 준비되고 정상이며 기대 했던 대로 진행되지 않을 위험성
(128) 출산과정 증진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childbearing process) : 임신과 분만이 순조로우며 신생아를 잘 돌볼 수 있게 건강상태가 유지되고 증진될 수 있게 준비된 상태
(129) 모아관계 위험성(Risk for disturbed maternal/fetal dyad) : 임신과 관련된 문제로 모아공생이 위험 한 상태

Domain 9. 대응/스트레스 내성(Coping/Stress Tolerance)


Class 1. 외상 후 반응(Post-Trauma Responses)


(130) 외상 후 증후군(Post-trauma syndrome) : 외상이나 충격적인 사건에 대한 부적응 반응이 지속적으 로 나타나는 상태
(131) 외상 후 증후군 위험성(Risk for post-trauma syndrome) : 외상이나 충격적인 사건에 대한 지속적 인 부적응 반응이 나타날 우려가 있는 상태
(132) 강간상해 증후군(Rape-trauma syndrome) : 피해자의 의지나 동의 없이 강제로 성폭행을 당한 상 태에 대하여 계속되는 부적응반응이 있는 상태
(133) 환경변화 스트레스 증후군(Relocation stress syndrome) : 환경변화에 따른 생리적, 사회 ・ 심리적 장애를 경험하는 상태
(134) 환경변화 스트레스 증후군 위험성(Risk for relocation stress syndrome) : 환경변화에 따른 생리적, 사회 ・ 심리적 장애를 경험할 위험이 있는 상태

Class 2. 대응반응(Coping Responses)

(135) 비효율적 활동 계획(Ineffective activity planning) : 특정시간이나 상황에 알맞은 행동을 준비할 능 력이 없음
(136) 비효율적 활동 계획 위험성(Risk for ineffective activity planning) : 일정한 행동을 정해진 시간과 특정한 상황 하에서 준비할 능력이 없을 위험성
(137) 불안(Anxiety) : 자율신경반응을 동반하는 막연한 불편감 혹은 두려움(근원을 알 수 없는) 위험을 예상함으로 인해 야기되는 염려. 이것은 임박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계신호이며 위협을 처리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게 함
(138) 두려움(Fear) : 위험을 의식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위협에 대한 반응
(139) 슬픔(Grieving) : 개인, 가족, 지역사회가 실제적, 예견된 혹은 지각된 상실로 인해 경험하는 정상적 인 정서적, 신체적, 영적, 사회적, 지적반응과 행동과정
(140) 복합적 슬픔(Complicated grieving) : 의미 있는 사람의 죽음으로 인한 고통으로 정상수준에서 벗 어난 기능손상을 보이는 장애
(141) 복합적 슬픔 위험성(Risk for complicated grieving) : 의미 있는 사람의 죽음으로 인한 고통으로 정상수준에서 벗어난 기능손상을 보이는 장애의 위험성
(142) 방어적 대응(Defensive coping) : 긍정적 자아가 위협받는다고 지각 할 때 이를 방어하기 위한 자 아 보호 양상으로 자기 자신을 반복적으로 왜곡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함
(143) 비효율적 대응(Ineffective coping) : 스트레스원의 타당한 평가, 실행적 반응의 적절한 선택, 유용 한 자원의 활용에 대한 능력이 없는 상태
(144) 지역사회의 비효율적 대응(Ineffective community coping) : 적응과 문제해결을 위한 지역사회의 활동 양상이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상태
(145) 손상된 기분 조절(Impaired mood regulation) : 약한 정도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감정, 인지, 신체, 생리적인 징후들의 집합으로 절충되는 감정 또는 기분의 변화에 의해 특징되는 정신 상태
(146) 힘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power) : 변화에 대해 대처하고 참여하기에 충분한 역량 을 갖고 있는 형태
(147) 대응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coping) : 안녕과 강화의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인지적 행위적 노력 양상
(148) 지역사회 대응의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community coping) : 적응과 문제해결에 대한 지역사회 활동 양상이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지만, 현재나 미래의 문제/스 트레스요인 관리능력이 더 향상될 수 있는 상태
(149) 무력감(Powerlessness) : 자신이 처한 상황을 통제할 수 없거나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능력이 없다고 지각하는 상태
(150) 무력감 위험성(Risk for powerlessness) : 자신이 처한 상황을 통제할 수 없거나 결과에 중대한 영 향을 미칠 능력이 없다고 지각할 우려가 있는 상태
(151) 가족의 비효율적인 대응(Compromised family coping) : 사족이나 친지가 대상자나 가족의 적응능 력을 위태롭게 하는 행위
(152) 가족의 대응불능(Disabled family coping) : 가족이나 의미 있는 사람의 행위가 자신이나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한 개인의 적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게 하는 상태
(153) 가족의 대응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family coping) : 가족이나 대상자의 건강증진과 성장에 관심을 갖고 대비하여 대상자의 건강을 위한 적응과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상태
(154) 죽음불안(Death anxiety) : 죽음, 임종과 관련된 염려, 걱정, 두려움
(155) 부정 반응(Ineffective denial) : 건강에 손상이 있어도 불안이나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건에 대한 지식이나 의미를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부인하는 상태
(156) 회복력 손상(Impaired resilience) : 불리한 상황이나 위기에 대한 긍정적 반응양상을 유지하는 능 력의 감소
(157) 회복력 증진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resilience) : 불리한 상황이나 위기에 대한 긍정적 반 응양상이 인간의 잠재력을 최적 활용할 수 있는 상태
(158) 회복력 손상위험성(Risk for impaired resilience) : 불리한 상황이나 위기에 대한 긍정적 반응양상 을 유지하는 능력의 감소 위험성
(159) 만성 비탄(Chronic sorrow) : 질병이나 장애를 경험하는 과정동안 연속적인 상실에 대한 반응으로 만성질병이나 장애를 가진 개인이나 부모, 돌봄제공자가 경험하는 순환적, 재발적, 잠재적 슬픔
(160) 스트레스 과잉(Stress overload) : 행위가 필요한 요구의 양과 형태가 지나침

Class 3. 신경반응 스트레스(Neurobehavior Stress)

(161) 두개내압 조절력 감소(Decreased intracranial adaptive capacity) : 두개 내 용적 증가 시 정상적으 로 보상작용을 하는 두 개 내 체액 역동기전이 손상됨에 따라 유해하거나 무해한 여러 자극에 의 해 두개내압이 불규칙하게 반복적으로 증가되는 상태
(162) 자율신경반사 장애(Autonomic dysreflexia) : 제7흉추 이상의 척수손상 후 유해자극에 대한 교감신 경반응이 억제되지 않아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
(163) 자율신경반사 장애 위험성(Risk for autonomic dysreflexia) : 제6 흉추 이상의 척수손상이나 병변 이 있는 개인이 척수쇼크 후 교감신경반응이 억제되지 않아 생명을 위협할 위험이 있는 상태
(164) 영아의 비조직적 행위(Disorganized infant behavior) : 환경에 대한 통합되지 않은 생리적, 신경적 행동반응
(165) 영아의 비조직적 행위 위험성(Risk for disorganized infant behavior) : 생리적, 행동적 기능체계의 통합과 조절이 변화될 위험이 있는 상태
(166) 영아의 비조직적 행위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disorganized infant behavior) : 영양 의 생리적, 행동적 기능체계가 만족스럽게 기능하고 있으나, 환경자극에 대한 반응이 보다 높은 통합수준으로 증진될 여지가 있는 상태

Domain 10. 생의 원리(Life Principles)


Class 1. 가치(Values)

Class 2. 신념(Beliefs)


(167) 영적안녕 증진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spiritual well-being) : 신체적, 심리적, 영적인 인간 의 상호연계성을 유지하면서 내적 자아가 발전하는 과정

Class 3. 가치/신념/행동일치(Value/Belief/Action Congruence)

(168) 의사결정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decision-making) : 장 ・ 단기 건강관련 목표를 충 족하고 향상할 수 있는 행동선택과정의 유형
(169) 의사결정갈등(Decisional conflict) : 삶의 가치 상실, 위기, 도적에 직면하여 어떤 행동을 선택할지모르는 불확실한 상태 혹은 임종말기 환자의 생명유지를 시작, 지속, 중단시키는 것과 관련된 불 확실한 상태
(170) 자유로운 의사결정 장애 (Impaired emancipated decision making) : 유연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없거나 사회적인 규범의 고려 또는 개인적인 지식을 포함할 수 없는 판단불만을 초래하는 보건 의사결정을 선택하는 과정
(171) 자유로운 의사결정 향상 가능성(Readiness for enhanced emancipated decision making) : 강화할 수 있는 사회적 규범의 고려 또는 개인적인 지식을 포함한 보건의사결정을 선택하는 과정
(172) 도덕적 고뇌(Moral distress) : 도덕적 행위를 수반하지 않는 도덕적 의사결정을 했을 때 개인적인 심리적 불안정, 신체적 불편감, 불안 혹은 분노를 경험하는 상태
(173) 종교 활동 장애, 손상된 신앙심 (Impaired religiosity) : 한 개인이나 집단이 특정종파 혹은 신앙공 동체의 신념을 믿는 실천능력에 장애가 있거나 혹은 관련 의식에 참여하지 못하는 상태
(174) 종교 활동 증진 가능성, 신앙심 향상 가능성 (Readiness for enhanced religiosity) : 종교적 신념 혹은 신앙의식 참여에 대한 믿음을 증가시키는 능력
(175) 종교 활동 장애 위험성, 신앙심 손상 위험성 (Risk for impaired religiosity) : 개인이 특정종파 혹 은 신앙공동체의 신념에 대한 믿음을 표현하는 능력이나 관련된 종교의식에 참여하는 능력에 장 애가 발생될 위험이 있는 상태
(176) 영적 고뇌(Spiritual distress) : 자신, 타인, 예술, 음악, 문학, 자연 혹은 신과의 관계를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경험하고 통합하는 능력의 장애
(177) 영적 고뇌 위험성(Risk for spiritual distress) : 자신, 타인, 예술, 음악, 문학, 자연, 혹은 신과의 관 계를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경험하고 통합하는 능력의 장애

Domain 11. 안정/보호(Safety/Promotion)


Class 1. 감염(Infection)


(178) 감염위험성(Risk for infection) : 신체적 안녕을 위협하는 내적, 외적 위험요인이 있는 상태

Class 2. 신체손상(Physical Injury)


(179) 기도개방 유지불능(Ineffective airway clearance) : 해부학적, 신체적 기도 폐쇄로 환기가 정상적으 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
(180) 기도흡인 위험성(Risk for aspiration) : 위장 분비물, 구강인두 분비물, 고형물질, 액체성분이 기관 혹은 기관지 내로 들어갈 위험이 있는 상태
(181) 출혈 위험성 (Risk for bleeding) :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혈액량 감소가 될 수 있는 취약한 상태
(182) 안구 건조 위험성(Risk for dry eye) : 안구보습에 필요한 눈물의 양과 질이 감소해서 각막과 결막 에 불편감과 손상을 줄 위험성
(183) 낙상 위험성(Risk for falls) : 신체손상을 유발시키는 낙상 가능성이 높은 상태
(184) 신체손상 위험성(Risk for injury) : 환경의 위험성 인자 부족 혹은 운동이나 감각의 결손으로 신체 적 위해가 발생할 위험이 높거나, 가족들에 의해 노인 학대 혹은 방치의 위험성이 높은 상태
(185) 각막 손상 위험성(Risk for corneal injury) :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표재성 또는 깊은 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각막조직의 감염성 또는 염증성 병변에 취약한 상태
(186) 수술 중 체위관련 손상 위험성(Risk for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 수술 전 ・ 중 ・ 후의 전 상황에서 체위와 관련하여 손상 받을 위험이 있는 상태
(187) 열 손상 위험성, 체온손상 가능성 (Risk for thermal injury) : 극한의 온도로 피부와 점막에 손상이 올 위험성
(188) 비뇨기계 손상 위험성(Risk for urinary tract injury) :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는 카데터 사용으 로부터 요로계 의 손상을 받을 수 있는 취약한 상태
(189) 치아 상태 불량(Impaired dentition) : 치아의 발육형태 혹은 구조에 결함이 있는 상태
(190) 구강점막 손상(Impaired oral mucous membrane) : 입술과 구강의 연조직이 손상된 상태
(191) 구강점막 손상 위험성(Risk for impaired oral mucous membrane) :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는 입술, 연조직, 구강, 구인두의 손상에 취약한 상태
(192) 말초신경 혈관 기능장애 위험성(Risk for peripheral neurovascular dysfunction) : 사지의 순환, 감 각, 운동에 장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상태
(193) 욕창 위험성 (Risk for pressure ulcer) : 절단(shear)과 결합된 압박 또는 압박의 결과로서 뼈 돌출 부를 넘어서 피부 또는 기저 조직에 국소화된 손상에 취약한 상태
(194) 쇼크 위험성 (Risk for shock) : 생명에 위협적인 세포의 이상기능을 일으킬 수 있는 체조직에 대 한, 건강에 위협을 줄 수 있는 부적절한 혈류에 취약한 상태
(195) 피부손상(Impaired skin integrity) : 표피나 진피가 심각하게 변화된 상태
(196) 피부손상 위험성(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 피부가 비정상적으로 변화될 위험이 있는 상태
(197) 영아 돌연사 증후군 위험성(Risk for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 1살 미만 영아의 갑작스런 죽음의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상태
(198) 질식 위험성(Risk for suffocation) : 사고로 인해 질식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상태
(199) 수술 후 회복 지연(Delayed surgical recovery) : 수술 후 건강과 안녕, 그리고 삶을 유지하기 위한 활동을 시작할 수 있는 회복기간이 연장된 상태
(200) 수술 후 회복 지연 위험성 (Risk for delayed surgical recovery)
(201) 조직손상(Impaired tissue integrity) : 외피, 점막, 각막 혹은 피하조직이 손상된 상태
(202) 조직 손상 위험성(Risk for impaired tissue integrity) :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는 점막, 각막, 피 부계통, 근막, 근육, 건, 뼈, 연골, 활액낭, 인대에 대한 손상에 대해 취약한 상태
(203) 외상 위험성(Risk for trauma) : 사고에 의한 조직손상의 위험이 고조된 상태
(204) 혈관 손상 위험성(Risk for vascular trauma) : 유치도뇨관이나 위장 삽관과 관련하여 정맥이나 주 위의 조직이 손상될 위험이 있는 상태

Class 3. 폭력(Violence)

(205) 자해(Self-mutilation) : 긴장 완화를 위해 의도적으로 치명적이지 않은 조직손상을 자행하는 자해 행위
(206) 자해 위험성(Risk for self-mutilation) :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자신에게 고의적으로 생명에 지 장이 없을 정도의 조직손상을 입힐 위험이 있는 상태
(207) 자살 위험성(Risk for suicide) : 자신에게 고통을 주고 생명을 헤치는 손상의 위험성이 있는 상태
(208) 폭력 위험성: 타인(Risk for other-directed violence) : 타인에게 신체적, 정서적, 성적으로 해를 입 힐 수 있는 행위의 위험이 있는 행동
(209) 폭력 위험성: 자신(Risk for self-directed violence) : 신체적, 정서적 혹은 성적으로 자해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행동

Class 4. 환경적 위험(Environmental Hazards)

(210) 오염(Contamination) :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킬 정도로 충분한 환경적 오염물질에 노출됨
(211) 오염 위험성(Risk for contamination) :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킬 정도로 충분히 환경적 오염 물질에 노출
(212) 중독 위험성(Risk for poisoning) : 중독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양의 위험물이나 약물복용 사고에 노 출 될 위험이 높은 상태

Class 5. 방어과정(Defensive processes)

(213) 라텍스 알레르기반응(Latex allergy response) : 천연라텍스 고무제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214) 라텍스 알레르기 반응 위험성(Risk for latex allergy response) : 천연라텍스 고무 제품에 대한 알 레르기 반응의 위험성에 처함
(215) 알레르기 반응 위험성 (Risk for allergy response) :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는 과도한 면역반응 또는 물질에 대한 반응에 취약한 상태
(216) 요오드성 조영제 부작용 위험성(Risk for adverse reaction to iodinated contrast media) : 조영제 투여 후 7일 안에 일어날 수 있는 요오드 함유 조영제의 이용으로 일어날 수 있는 유독하거나 또 는 의도하지 않은 반응이 올 위험성

Class 6. 체온조절(Thermoregulation)


(217) 체온유지능력 저하 위험성(Risk for imbalanced body temperature) : 정상범위의 체온을 유지하지 못할 위험이 있는 상태
(218) 고체온(Hyperthermia) : 체온이 정상범위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
(219) 저체온(Hypothermia) : 정상범위 이하로 체온이 저하된 상태
(220) 비정상적 체온 변화(Ineffective thermoregulation) : 저체온과 고체온 사이를 오르내리는 상태 (221) 저체온 위험성(Risk for hypothermia) :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는 심부 체온이 매일 정상 범위 이하로 내려갈 수도 있는 체온조절기전의 실패에 취약한 상태
(222) 수술 중 저체온 위험성(Risk for perioperative hypothermia) : 수술 전 1시간에서 수술 후 24시간 까지 건강을 위협할 수도 있는 36 ̊ C 이하로 심부체온이 우연히 하강할 위험에 취약한 상태

Domain 12. 안위(Comfort)


Class 1. 신체적 안위(physical comfort)


(223) 안위 장애; 신체적 안위 (Impaired comfort) :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그리고 사회적인 면에서 안 락함, 편안함, 평안함이 부족하다고 지각하는 상태
(224) 안위향상 가능성; 신체적 안위 (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사회 적 측면에서 평안하고 안락한 상태가 유지되고 강화될 수 있는 상태
(225) 오심 (Nausea) : 목, 상복부 혹은 복부의 불쾌하고 울렁거리는 주관적 감각으로 구역질이나 구토를 유발할 수 있는 상태
(226) 급성 통증 (Acute pain) :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각적 또는 정서적 불편감이 갑자기 또는 서서히, 경증에서 중증 강도로 지속하거나 끝이 예측되는 통증이 있는 상태
(227) 만성 통증 (Chronic pain) :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각적 또는 정서 적 불편감이 갑자기 또는 서서히, 경증에서 중증 강도로 지속하거나 예기치 못한 재발성 통증이 3 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
(228) 분만 통증 (Labor pain) : 출산과 분만과 관련된 즐거움에서 즐겁지 않음까지 다양한 감각적이고 감정적인 경험
(229) 만성 통증 증후군 (Chronic pain syndrome) : 일상생활 또는 안녕에 중대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적어도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재발성 또는 지속적인 통증

Class 2. 환경적 안위(Environment Comfort)


(230) 안위향상 가능성; 환경적 안위 (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사회 적 측면에서 평안하고 안락한 상태가 유지되고 강화될 수 있는 상태
(231) 안위 장애; 환경적 안위 (Impaired comfort) :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그리고 사회적인 면에서 안 락함, 편안함, 평안함이 부족하다고 지각하는 상태 Class 3. 사회적 안위(Social Comfort) 사회적 상황에 대한 안녕감 혹은 편안감.
(232) 안위 장애; 사회적 안위 (Impaired comfort) :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그리고 사회적인 면에서 안 락함, 편안함, 평안함이 부족하다고 지각하는 상태
(233) 안위향상 가능성; 사회적 안위 (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그리고 사회적인 면에서 안락함, 편안함, 평안함이 부족하다고 지각하는 상태
(234) 고독 위험성(risk for loneliness) : 다른 사람과 더 접촉할 필요성 또는 요구와 관련된 불편감을 경 험하는,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취약성이 큰 상태
(235) 사회적 고립(Social isolation) : 개인이 경험하는 외로움으로서 타인에 의한 것으로 인지하는 부정 적, 위협적 상태. 자신이나 환경의 지지체계와 접촉이 결여된 상태(related to 부적절한 개인적 자 원)

Domain 13. 성장/발달(Growth/Development)

Class 1. 성장(Growth)


(236) 불균형적 성장 위험성(Risk for disproportionate growth) : 해당 연령기준에서 상위 3% 혹은 하위 3%의 수준을 오르내리며 불균형적으로 성장할 위험이 있는 상태

Class 2. 발달(Development)


(237) 발달지체 위험성(Risk for delayed development) : 해당 연령집단의 성장발달기준에서 벗어난 상 태

뉴런(신경세포)

뉴런은 전기신호 흥분성 세포야!

전기신호를 받고, 처리하고, 전기신호를 다시 전기신호와 화학신호로 전달하지!

그리고 이 뉴런들이 모여서 신경회로를 만들어!


뉴런은 뇌와 척수같은 중추신경계의 최소 단위이자!

자율신경과, 체성신경을 포함한 말초신경계의 최소 단위야!



나이를 나타내는 말


*충년10세 안팎의 어린 나이

(沖 화할 충, 어리다 충 年 해 년)

+沖 화할 충, 어릴 충

삼수변氵=水 + 가운데中

물의 중간이라는 뜻인데

물의 중간층은 잔잔하고 고요하다!

그렇기에 따뜻하고 부드럽다는 뜻이니 화할 충이고, 어릴 충이다.

충년=어린나이=약 10세


*지학志學: 15세 학문에 뜻을 둠

(志 뜻 지, 學 배울 학)

+志 뜻 지

土흙 토+心마음 심

땅에서 초목이 자라난다+마음

즉 무언가를 위해서 자라나는 마음이라는 의미에서

뜻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공자가 15세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 하여 15세를 의미하게 되었다.


*과년瓜年: 여자가 혼기에 이른 나이/벼슬의 임기가 다한 해

(瓜 오이 과年 해 년)

+瓜 오이 과

오이 덩굴에 열매가 달려 있는 모양을 나타냈어

참외나 모과라는 뜻도 있어!

즉! 오이가 익어간다라는 의미니까

익은나이! 그러니까 혼기가 찬 나이, 벼슬의 임기가 다한 해 라는 뜻을 가져!


*방년芳年: 이십 세 전후의 한창 젊은 꽃다운 나이

芳꽃다울 방, 年해 년

+芳 꽃다울 방

艹 풀 초

풀이란 뜻도 있고, 꽃도 풀이야!

方 모 방, 본뜰 방

양쪽 손잡이가 달린 쟁기 모양으로, 두사람이 나란히 서서 사용하기에

좌우, 한줄로 늘어놓다, 비교하다, 네모, 십자가 같은 뜻을 가져!
즉 꽃다울 방은 꽃의 모양이니, 꽃답다 라는 뜻임!!

說(가담항설)


街거리 가

行다닐 행

彳(척☞왼발의 걷는 모양)과 亍(촉☞오른발의 걷는 모양)

즉 왼발과 오른발로 걷는다 하여 다닐 행이다!

여기에다가

圭 흙과 흙이 겹쳐진다 하는 발자국이 더해지면

사람들이 걸어다니면서 발자국이 찍히는 곳

바로 [거리 가] 가 완성!!


談 말씀 담

言말씀 언 + 炎불꽃 염
사람들이 불꽃 주변에서 떠드는 말
그러니 좀 가벼운
이야기나 농담이라는 뉘앙스를 가져!

巷 거리 항

共한가지 공
廿스물 입(十 열십 둘을 합친거)
入들입 (손을 뻗쳐 올리다)
20명이나 되는 사람이 한꺼번에 일하다
즉 한가지 공은 함께하다 라는 뜻이 있어!

그리고 바닥에는 己비슷한게 있는데 이건 고을 읍의 생략형이야!

己(기☞邑(읍☞고을)의 생략형

그러니까 거리 항 은 사람들이 마을에서 함께 한다 하여

동네, 시가, 거리 같은 뜻이 있어!


說말씀 설, 달랠 세, 기뻐할 열, 벗을 탈

言 말씀 언
兌기쁠 태, 바꿀 태
儿사람이 口입을 八열다 라는 뜻이야!
입을 열어서 기쁘게 웃거나
물건을 교환할때 사람이 입을 열지
즉 사람에게 말해서 기쁘게 하니까, 슬퍼하는 사람을 달래거나 기뻐하게 만드는거고!
말해서 바꾸니까 벗을 탈 이라는 뜻도 있어!


요약하자면 說 가담항설은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거리에서의 잡담과
사람들이 많은 곳에서의 즐거운 이야기 거리를 뜻해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우리말로 쉽게 순화하면
뜬소문 이야!!




+ Recent posts